HDD, SSD, DRAM의 차이
🤔 HDD (Hard Disk Drive)?
🙋♂️
하드디스크는 회전 디스크에 가리키는 헤드가 움직이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데이터를 읽고 쓰기를 하기 때문에 비교적 속도가 느리지만, 저렴하게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합합니다.
구동하는 기계 부품이 존재해서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집니다.
🤔SSD (Solid State Drive)?
🙋♂️
SSD는 기계적 움직임이 없이,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HDD와 비교하면 기계적 움직임이 없다는 차이로 인해 속도가 매우 빠르게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플래시 메모리: HDD는 기계부품이 움직여서 데이터를 저장했다면,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를 전기를 통해 저장하는 것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입니다. (휘발성 메모리)
시스템에서 즉각적인 처리가 필요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앞에 2개와 비교하면,
굉장히 속도가 빠릅니다.
그러나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요약
HDD, SSD, DRAM의 공통점은
- 저장 매체
- 메모리 역할 입니다.
그러나 속도, 저장 방식, 사용 목적에 차이가 나타납니다.
HDD
- 기계 부품으로 구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기계적 움직임때문에 비교적 속도가 느립니다.
- 기계 부품으로 인해 비교적 내구성이 약합니다.
-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대용량 저장에 적합합니다.
SSD
-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기계적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속도가 빠릅니다.
- 내구성이 좋습니다.
- 상대적으로 가격은 비쌉니다.
DRAM
-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 즉각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집니다.
- 가격이 비싸고, 장기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아이폰 메모리 사양은?
아이폰 14프로 기준입니다.
6 GB LPDDR5 SDRAM |
128 GB, 256 GB, 512 GB, 1 TB NVMe 규격 내장 메모리 |
지금까지 SSD와 HDD 그리고 DRAM을 배웠는데요.
위에 S하고 DRAM은 보이는 것 같고, 나머지는 안 보이는데 이게 어떻게 된건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SDRAM은
기존의 DRAM보다 개선된 형태입니다.
기존의 DRAM은 시스템의 클럭과 동기화되지 않아서 데이터 접근하는 시간이 불규칙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가 제한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개선된 SDRAM은 시스템의 클럭 신호와 동기화 작동되어서,
모든 메모리 연산이 클럭 신호에 맞춰서 일관되게 수행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이 가능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그럼 나머지 NVMe는 무엇일까요?
SSD의 하나의 형태로, 매우 높은 속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모바일 기기는 빠른 성능과 베터리 효율성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SSD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가능하게 해줘야 하며,
앞에서 학습한 것과 같이 가동하는 기계부품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좋습니다.
그리고 휴대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SSD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결론은
아이폰의 고성능 처리를 위해
메모리 사양은
DRAM의 개선된 SDRAM과
SSD의 종류 중 하나인 NVMe를 사용합니다.
Reference
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ssd-hard-drive/